"익선동 골목에 깃든 서울의 추억과 서정_정현숙의 『익선동 골목』

2024. 11. 25. 19:09시평론

 

[익선동 골목]

[정현숙, 2023 시민공모작] 

1) 내용적 맥락 분석

  • 주제 및 의도: 이 시는 서울의 익선동 골목에서 느껴지는 시간의 흐름과 장소성, 그리고 추억의 여운을 중심으로 형성됩니다. 옛 골목을 현대적 시각에서 바라보며 과거의 정취와 현재의 변화를 교차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특히 "낮달"과 "낡은 세월" 같은 시어를 통해 익선동의 정감 있는 분위기를 드러내려는 시인의 의도가 엿보입니다.
  • 사회문화적 맥락: 익선동은 전통적인 한옥과 현대적 생활이 공존하는 곳으로, 이 시는 그러한 이중성을 포착하여 도시화 속에서도 살아남은 옛 정서와 사람들의 기억을 재조명합니다.

2) 형식적 구조 분석

  • 구성 방식: 이 시는 짧은 2연으로 나뉘며, 각 연은 익선동의 공간적 요소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합니다. 첫 번째 연은 풍경을 묘사하고, 두 번째 연에서는 골목을 지나며 볼 수 있는 일상적 장면들을 보여줍니다.
  • 의미 전달: 짧고 간결한 구조가 시의 회상적 정서를 강조하며,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익선동의 감각을 전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기와집", "처마", "굴뚝"과 같은 전통적 공간의 상징이 시간의 흐름을 느끼게 합니다.

3) 언어와 표현 분석

  • 시어 선택: "낮달," "기와집," "굴뚝" 등의 단어는 시골적인 이미지와 서울의 전통적 골목 문화를 강조하며, 익선동의 장소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냅니다.
  • 비유와 상징: "낮달이 지나는 곳"은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존재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익선동을 비유합니다. 전선과 처마, 굴뚝은 도시와 시골의 상징으로, 익선동의 고유한 분위기를 시각화합니다.

4) 정서와 스타일 분석

  • 감정적 층위: 이 시는 익선동 골목을 바라보는 애정 어린 시선을 드러내며,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익선동에 대한 아련한 감정을 담고 있습니다. 시는 지나간 시간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독자에게 편안함과 따뜻함을 전달합니다.
  • 어조와 분위기: 온화하고 서정적인 어조가 익선동의 한적한 분위기와 맞닿아 있습니다. 일상적이고 소박한 묘사가 골목의 정취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5) 문학사적 맥락 분석

  • 문학 전통 내 위치: 현대 도시의 전통과 변화하는 일상을 담아내며, 시간의 흐름과 공동체성을 주제로 삼았던 서정시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습니다.
  • 상호텍스트성: 이 시는 도시화와 전통의 대립을 다룬 다른 한국 현대시들과 상호작용하며, 소외된 전통적 공간에 대한 시적 복귀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6) 심리학적 해석

  • 시인의 내면세계: 시인은 익선동이라는 공간에 담긴 삶의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감수성과 추억을 불러내고 있습니다. 낯선 타인도 익숙하게 느껴지는 골목에 대한 심리적 애착을 나타내며, 익선동 골목에 내재된 향수와 안정감을 시각화합니다.
  • 무의식적 표현: "반가운 사람 뛰어올 것 같은 길"이라는 표현은 시인의 유년 시절의 기억이나 익숙함에 대한 무의식적 갈망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7) 수용 및 해석 분석

  • 잠재적 독자 해석의 다양성: 이 시는 익선동을 배경으로 도시와 전통이 공존하는 감각을 체험한 사람들에게 강한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 공간을 소중히 여기는 독자들로부터 긍정적 수용이 기대됩니다.
  • 문화적 수용 가능성: 현대 도시에서의 전통적 공간의 가치를 상기시키며, 빠르게 변모하는 도시 속에서 그 가치가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는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습니다.

8) 계량적 텍스트 분석

  • 단어 선택의 특성: 주로 한자어와 전통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시어가 사용되었으며, 단어 선택에서 간결하고 비유적인 특성이 두드러집니다.
  • 문장 구조 분석: 간결한 문장 구조가 시의 회고적 감정을 잘 전달하며, 감각적인 묘사가 강렬한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종합 평가

정현숙의 <익선동 골목>은 전통과 현재가 공존하는 익선동의 풍경을 배경으로, 아련한 향수와 서정적인 감성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과거와 현재가 얽힌 공간적 배경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그에 대한 애착을 형상화했으며, 단순한 언어로 세월의 무게를 품은 익선동 골목의 정서를 생동감 있게 표현합니다. 작품은 한옥과 전통이 사라져가는 현대 도시 속에서 그 가치를 환기시키며, 전통적 삶의 소박함과 인간미를 환기시키는 문학적 의의가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