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꼰대(8)
-
삶의 끝자락에서 마주하는 고요: 최홍윤의 12월의 시
12월의 시 최 홍 윤 바람이 부네 살아 있음이 고맙고 더 오래 살아야겠네 나이가 들어 할 일은 많은데 짧은 해로 초조해지다 긴긴밤에 회안이 깊네 나목도 다 버리며 겨울의 하얀 눈을 기다리고 푸른 솔은 계절을 *잊고 한결같이 바람을 맞는데 살아 움직이는 것만 숨죽이며 종종 걸음치네 세월 비집고 바람에 타다 버릴 것도 새로울 것도 없는데 시간은 언제나 내 마음의 여울목 세월이여 이제 한결같은 삶이게 하소서 ----------------------------------------------- [시 제목] 12월의 시 [작가명] 최홍윤 [발표 연도] 미상 1) 내용적 맥락 분석 최홍윤의 *"12월의 시"*는 삶의 무상함과 시간의 흐름을 통해 느껴지는 내적 성찰을 다루고 있습니..
2024.12.01 -
"익선동 골목에 깃든 서울의 추억과 서정_정현숙의 『익선동 골목』
[익선동 골목][정현숙, 2023 시민공모작] 1) 내용적 맥락 분석주제 및 의도: 이 시는 서울의 익선동 골목에서 느껴지는 시간의 흐름과 장소성, 그리고 추억의 여운을 중심으로 형성됩니다. 옛 골목을 현대적 시각에서 바라보며 과거의 정취와 현재의 변화를 교차적으로 담아내고 있습니다. 특히 "낮달"과 "낡은 세월" 같은 시어를 통해 익선동의 정감 있는 분위기를 드러내려는 시인의 의도가 엿보입니다.사회문화적 맥락: 익선동은 전통적인 한옥과 현대적 생활이 공존하는 곳으로, 이 시는 그러한 이중성을 포착하여 도시화 속에서도 살아남은 옛 정서와 사람들의 기억을 재조명합니다.2) 형식적 구조 분석구성 방식: 이 시는 짧은 2연으로 나뉘며, 각 연은 익선동의 공간적 요소를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합니다. 첫 번째 연은..
2024.11.25 -
관악산에서 만난 가을_전병덕의 [가을 이별]"
[가을 이별][청운 전병덕, 2024년 10월 26일] 1) 내용적 맥락 분석 이 시의 중심 주제는 ‘가을과 이별의 비유적 표현’으로, 계절의 변화와 함께 찾아오는 이별의 정서를 담고 있습니다. 관악산의 기슭에서 만난 가을 풍경이 시인이 느낀 이별의 징조와 상징적으로 결합되었으며, 이는 자연 속 변화의 순환을 통해 이별의 불가피성과 수용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나무들이 "엄동설한을 준비"하며 이별을 받아들이는 모습은 계절의 무상함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면서도, 인간 관계에서의 체념과 수용의 필요성을 암시합니다. 2) 형식적 구조 분석 전체 시는 자연스럽게 흐르는 연과 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속적인 이미지와 짧은 행을 통해 변화의 흐름과 점진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푸르던 나무들," "녹색의 경계..
2024.11.23 -
고요한 기다림의 미학, 유현숙의 『의자』
[의자] [유현숙] [발표 연도: 정보 없음] 1) 내용적 맥락 분석 유현숙의 시 의자는 존재와 기다림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의자라는 사물에 감정을 부여하며, 그 의자가 마치 누군가를 위해 헌신적으로 기다리는 모습이 부각됩니다. 여기서 의자는 단순한 사물이 아니라, 지친 사람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는 대상입니다. 이를 통해 시인은 인간 내면의 고독과 기다림, 타인을 향한 배려와 희망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의도를 드러냅니다. 2) 형식적 구조 분석 이 시는 짧은 연과 간결한 행을 통해 독특한 리듬을 형성하며, 시각적 간결함과 여백을 활용해 사물 의자의 고독을 강조합니다. 의자가 서 있는 "강가"와 "앞산의 그림자"는 시간의 흐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시적인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마지막 연에서 ..
2024.11.21 -
무지개 같은 인생의 순간들 - 김승동의 ‘막걸리’ 시평론
막걸리김승동“허허/그리운가, 잊어버리게,/여름날 서쪽 하늘에 잠시 왔다 가는 무지개인 것을/그 고운 빛깔에 눈멀어 상심한 이 지천인 것을/미움 말인가/따뜻한 눈길로 안아주게, 어차피 누가 가져가도 다 가져갈 사랑/좀 나눠주면 어떤가,/그렇게 아쉬운가, 놓아버리게/붙들고 있으면 하나일 뿐, 놓고 나면 전부 그대 것이 아닌가/세상의 그립고 밉고 아쉬운 것들 그게 다 무엇인가/사랑채에 달빛 드는 날/묵 한 접시에 막걸리 한 잔이면 그만인 것을” [김승동, '막걸리', 발표 연도 정보 미상] 이 작품을 분석하겠습니다. 1) 내용적 맥락 분석 김승동의 시 *'막걸리'*는 인생의 덧없음과 소유욕의 무의미함을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특히 '무지개'와 같은 이미지로 덧없는 아름다움에 대한 경외심과 이를 통해 생겨나는 ..
2024.11.07 -
"희망의 꽃망울" 속에 깃든 희망과 생명력 - 강상률 시 분석
강상률 희망의 꽃망울 희망의 꽃망울 강상률 (한국현대시인협회) 북서풍 춥고 시린 산골 어딘가 꽃은 피어난다아픔의 홀씨 하나 햇살 머금고 맨땅을 흔들면 내용적 맥락 분석 *「희망의 꽃망울」*은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피어나는 희망을 주제로 삼아, 자연적 이미지를 통해 고통을 견디는 생명력을 은유합니다. 시인은 차갑고 황량한 환경 속에서도 아름답게 피어나는 꽃을 통해 독자들에게 긍정적이고 회복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고통이 희망으로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강조합니다.형식적 구조 분석 이 시는 자유시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짧고 간결한 문장으로 함축적인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두 개의 연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연에서 대조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의미를 강조합니다. 첫 연에서는 차가운 바람과 황량한 산골을..
2024.11.05